태극기 집회, 나아가 한국 우파의 이념을 알 수 있는 글을 찾다가 집어들게 된 이 논문은 양성익 애리조나 대학교 교수가 쓴 하버드 박사논문인 <한국의 파시스트 순간>이다. 사실 역사적 파시즘에 대해서는 늘 관심이 많았고, 그래서 논문의 존재 자체는 이전부터 인지하고 있었는데, 아무래도 어지간한 단행본보다 조금 더 두꺼운 논문을 내 전공도 아닌데 읽는 것은 부담되는 일이라 관두고 있었다. 그런데 역시 탄핵 반대 집회의 저 무시무시한 에너지를 직접 눈으로 본 다음에는 이것을 해석해줄 글을 읽고 싶다는 강한 호기심이 들기 시작했다. 어쨌든 읽은 지 이제는 두 달 정도가 지나기도 했으니, 상세한 내용 요약보다는 키워드 위주로 이 논문이 한국 우파의 이념을 어떤 식으로 드러내는가를 나눠보는 차원에서 간략히 정리해보고자 한다.
제목에서 드러나듯이 이 논문은 1945년부터 1979년까지 한국 우파를 일종의 파시즘으로 규정한다. 물론 본론에서 파시즘이라는 규정이 자주 등장하지는 않다만, 서론에서는 1945-1979 기간 한국 우파가 파시즘과 상당한 친연성을 가지고 있음이 충분히 제시된다. 물론 양성익 교수가 쓰는 ‘파시즘’은 정치적 낙인찍기로서 파시즘이 아니라 자유주의가 아닌 대안적 근대성을 모색한 후발국들이 채택한 이념 지향으로서 제시된다. 역사적 파시즘과 식민지에서 파시즘의 가능성에 관한 이론적인 이야기들은 일전에 내가 쓴 다른 글에서 설명이 되었으리라고 생각하여 생략하겠다.

사실 <한국의 파시스트 순간>에서 ‘파시즘’보다 강조되는, 1945년부터 1979년까지 남한의 정치 담론을 관통하는 개념은 ‘초월적 민족주의(transcendant nationalism)’다. 나는 이것이 종교적 의미에서의 초월을 뜻하는 것인가 하고 호기심을 가졌었는데 그건 아니었다. 대신에 민족을 가르는 단층선들, 좌파와 우파, 농촌과 도시, 기성세대와 신세대 등의 구분을 모두 ‘초월’하고 한민족이 일치단결해서 생존과 발전을 도모해야 한다는 민족주의를 뜻한다. 이 초월적 민족주의는 해방정국에서 본격적으로 등장했으나, 그 연원은 구한말의 민족 위기 때부터 나타났고, 좌우파를 가리지 않고 폭넓은 합의를 얻었다. 그래서 저자는 1945-1979년 한국 우파의 이념이 단순히 국가에 의해서 강제되는 것이 아니라 사회에서 광범위한 지지까지 얻어냈다고 주장한다. 정치인, 지식인은 물론이고 사회 일반을 포괄하는 이념 담당 국가 기관까지 일종의 복합체(complex)를 이루면서, 이 시기에 초월적 민족주의에 기반한 한국 우파 이념은 일종의 헤게모니 이념으로 기능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