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1년은 푸틴 정권의 성격이 서구와 협조적 관계에 기반한 민주주의에서 대결적 외교정책을 바탕으로 한 애국주의와 권위주의로 이행하는 이정표가 되어준 해였다. 국내의 반푸틴 시위와 국외의 아랍의봄, 결정적으로 나토의 리비아 공습과 카다피 축출은 크렘린 상층부에 서구가 러시아에서도 얼마든지 정권을 전복할 수 있을 것이라는 공포감을 심어주었다. 푸틴은 점차 미국의 대외정책에 노골적인 불만을 표하면서, 국내적으로는 민족주의를 동원하며 2012년에 다시 권좌로 돌아왔다. 이런 맥락에서 푸틴 3기의 정책들은 다시금 군사력에 커다란 방점을 두기 시작했으며, 대내적으로도 대조국전쟁 신화를 훨씬 더 적극적으로 강조하며 군은 러시아 국가 정체성의 핵심으로 올라서게 된다. 푸틴은 집권 직후부터 세르듀코프의 구조조정 이후에 새로운 조직과 기술을 바탕으로 군을 재편하는 과업을 맡을 두 인물을 발탁했는데, 바로 국방장관 세르게이 쇼이구와 총참모장 발레리 게라시모프였다.

세르게이 쇼이구는 시베리아의 투바 공화국 소수민족 출신이다. 토목 엔지니어로 경력을 시작한 그는 투바 자치공화국 공산당 지도자였던 쿠주게트 쇼이구의 아들로 소비에트 체제의 충실한 구성원이었다. 이후 쇼이구는 옐친과의 인연을 통해 36세라는 젊은 나이에 비상사태부 장관에 오를 수 있었다. 그가 1991년부터 2012년까지 장관으로 이끌었던 비상사태부는 대중에게 확실히 존재감을 확실히 알릴 수 부서였다. 사건 사고가 몹시 잦았던 전환기 러시아에서 쇼이구는 현장형 지휘관으로서 대중들 사이에서 큰 인기를 얻었다. 그런 의미에서 쇼이구는 장기집권으로 인기가 떨어지기 시작한 푸틴 정권에서 대중의 지지를 끌어모을 수 있는 인물이었다. 게다가 군과는 아무런 관련 없는 외부자로서 구조조정을 이끌며 군 조직의 불신을 샀던 세르듀코프의 후임으로도 적절했다. 비상사태부는 사태 수습을 위해 군과의 긴밀한 교류가 필수적이었고, 이 과정에서 쇼이구 본인도 장성 계급을 수여 받았기에 군의 신임도 회복할 수 있었다. 물론 가장 중요한 정치적 충성심도 있었다. 일찍부터 옐친 서클에서 푸틴을 전폭적으로 지지했던 쇼이구는 2001년부터 2004년까지 여당인 통합러시아당의 당대표를 역임하며 실로비키와 민간 정치인을 매개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