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53년, 소련을 20년 이상 철권으로 통치한 스탈린이 죽고, 소련에도 마침내 ‘호시절’이 찾아왔다. 한국전쟁을 질질 끌면서 전후 양대 진영 대치 구도를 최종적으로 확정시킨 스탈린이 죽고 그의 후계자들은 먼저 한국전쟁부터 마무리 지으면서 서방 진영과 협상을 하고자 했다. 차기 권력을 획득한 니키타 흐루쇼프는 ‘평화공존’을 외치면서 제국주의와 사회주의의 갈등이 무력 충돌로 비화되어서는 안 된다고 이야기했다.

이 시기가 호시절이었던 가장 큰 이유는 1950년대에 소련 경제가 매우 빠르게 성장했기 때문이다. 소련 경제는 연 8-10%라는 고성장을 이루면서 빠르게 발전해갔고, 국민들의 소비 수준도 그에 맞춰서 높아졌다. 이제는 ‘내일 전쟁이 온다면’이라는 노래를 부르며 내핍 생활을 견디는 시대가 아니라, 사회주의 발전은 더 많은 소비와 편리한 도시 생활에 있다고 이야기할 수 있는 시대였다. 그리고 소련 경제의 이런 발전에 가장 결정적인 역할을 했던 것이 1950년대 브레턴우즈 체제의 확립과 국제 무역의 확대였다. 소련은 발전된 자본재를 사와서 자국의 생산을 늘리는 것은 물론이고, 오렌지나 바나나 같이 소련 국민들이 더욱 많이 소비하게 된 세계의 다채로운 소비재를 수입해왔다. 그리고 국제 무역에서 이익을 확실히 챙기기 시작한 소련의 경제 관료들은, 국제 무역을 더 원활하게 운용하기 위한 경화를 얻는 것이 필수적이라는 결론을 얻게 된다. 1950년대를 거치며, 소련은 영국, 프랑스, 서독, 이탈리아 등의 서유럽 주요 선진국은 물론이고 일본과도 무역 협정을 체결하고 거래를 트기 시작했다. 발전기, 엔진과 같은 기계류, 페놀과 같은 화학제품 등 수많은 서방의 고품질 제품이 소련 경제의 부족한 부분을 효과적으로 보완해주기 시작했다. 민간, 소비재 기술이 열악했던 소련은 공항에 설치할 대형 에어컨도 구매했다.

이 과정을 주도한 인물은 젊은 아르메니아 볼셰비키로서 스탈린의 충복, 나중엔 흐루쇼프의 측근이 되는 대외무역부 장관 아나스타스 미코얀이었다. 소련은 국내 경제를 운영할 때 보여준 일반적인 방만함, 느린 속도, 관료주의로 악명이 높았다. 하지만 대외 무역을 주관할 때, 미코얀은 철저한 계약 이행과 빠른 업무 처리 속도를 보여주었고, 고스플란(국가계획위원회) 등을 설득하며 대외무역을 경제의 최우선에 배치할 정도로 정치적 영향력도 있는 인물이었다.

하지만 소련 경제에 반드시 필요한 수입 제품을 구매하기 위해서는 세계 상품 시장에서 결제할 수단인 경화가 필요했다. 국제 무역이 막 복원되기 시작할 때는, 서유럽 국가도 달러가 부족했기 때문에 소련과 경화를 통하지 않고 물물거래로 서유럽 상품 시장에 접근할 수 있었다. 하지만 경제와 무역이 회복되고 달러가 풍부해지면서, 물물거래보다는 경화를 통한 거래가 압도적으로 선호되기 시작했다. 소련도 이제는 경화를 얻기 위해서, 자본주의 세계가 필요로 하는 수출품을 판매해야만 하는 압박을 받게 된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