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30년대 이란을 둘러싼 세계 지정학은 급변하고 있었다. 지중해부터 인도양을 모두 장악한 대영제국은 세계 각지 민족주의 운동에 본격적인 도전을 받기 시작했다. 소련 공산주의는 영국과 갈등을 빚으며 약속된 자본주의의 파멸까지 혁명의 기지를 사수하고자 수세 전략을 굳혔다. 그러나 이란 주변의 두 강대국에 도전하는 새로운 세력도 등장하고 있었다. ‘아리안주의’를 내세우며 영국 중심의 베르사유 체제를 폐기하고, 소련 공산주의를 없애버리겠다는 히틀러의 독일이었다.
레자 샤는 이란과 공유하는 ‘아리안주의’의 구호, 북쪽의 소련과 남쪽의 영국으로 포위된 이란을 보호해줄 수 있는 새로운 열강이라는 차원에서 나치 독일과 각종 우호 협력을 시작했다. 이는 제1차세계대전 당시 오스만 제국과 동맹을 맺으며 이슬람 세계를 영국, 러시아에 맞서는 와일드카드로 삼고자 했던 독일 전략의 연장선에 있는 것이기도 했다. 많은 독일 엔지니어와 기업가들이 이란에 가서 인프라와 건물을 짓고, 공장 건설을 지원했다. 그리고 점증하는 나치의 위협을 바라보는 영국과 소련이 갑작스러운 독일의 등장을 반길 리가 없었다.
1941년, 옛 제국들은 레자 샤를 응징하기로 결심했다. 나치 독일에 어떻게 대응할 것인지를 둘러싸고 영국과 소련은 치열한 눈치 게임을 벌였었다. 영국은 소련이 제안한 대 히틀러 연대에 소극적으로 나서며 소련에 불신을 심어주었다. 소련은 영국을 고립시키며 1939년 독일과 충격적인 불가침조약을 맺으며 대응했다. 하지만 히틀러가 누구도 예상하지 못한 영국, 소련과의 동시 전쟁에 나서면서 상황은 급변했다. 1911년 이란 입헌 혁명을 무너뜨리는 데 러시아가 개입할 수 있던 이유는 영국도 러시아의 개입에 동의했기 때문이었다. 1941년도 마찬가지로, 친독 이란 정부를 무너뜨리는 데 양국의 합의가 맞아떨어지며 이란에 영국군과 소련군이 주둔하기 시작했다. 연합국 입장에서는 독일에 맞서 가장 많은 희생을 치르고 있는 소련에 물자를 이송해줘야 했고, 레자 샤가 건설한 많은 도로와 이란 종단 철도는 좋은 수단이 되어줄 수 있을 터였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