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초의 세계체제: 몽골제국
세계패권을 지닌 세계제국은 다른 국가들에 대한 지배적 우위가 세계적인 규모로 전개되는 나라를 뜻한다. 그 지배적 우위의 실체는 무엇일까? 월러스틴과 이후의 세계체제론자들은 일국의 경계를 넘어서는 공간적인 분업 구조를 통해 기능하는 세계 경제와 그 세계 경제를 관리하는 세계제국을 패권의 요체로 보았다. 이것은 패권 국가의 우위가 GDP 등으로 계상되는 추상적인 숫자에 달려 있는 게 아니라, 물리적 공간 위의 사람과 자원에 대한 실질적인 통제를 통해서만 보증된다는 것을 뜻한다. 즉, 세계제국으로서 미국은 단순히 혁신 기업이 많아서, 인구 구조가 건강해서, 북아메리카에 자원이 많아서 성립되는 것이 아니라 아메리카, 아프리카, 유라시아, 대양주에 걸쳐 사람, 자원, 기술의 전방위적 이동을 자신의 뜻대로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성립된다.
이러한 세계제국이 등장한 것은 인류 역사를 보면 상대적으로 최근의 일이다. 물론 고대 문명이 등장한 이래로 각 문명 중심부는 광범위한 지역체제를 구축했다. 이집트와 메소포타미아의 문명은 일찍부터 멀리 영국 제도부터 아프가니스탄에 이르는 장거리 교역망을 관장했다. 황하와 장강 유역에서 성장한 중화문명은 제국으로 거듭나며 고비사막 북쪽의 초원지대와 중앙아시아의 오아시스 도시들, 남중국해와 그 너머의 바다까지 물산이 원활히 교환되도록 매개해주었다. 페르시아 제국, 로마 제국, 아랍 칼리프 제국, 중국의 여러 왕조들은 문명의 촉수를 아직 국가 사회에 포섭되지 않은 변경의 미개척지로 뻗쳤다. 카이로, 콘스탄티노플, 바그다드, 장안과 같은 도시는 각각의 제국이 건설한 지역체제의 중심부였다.
그러나 지역체제는 결코 단일 세계체제로 확장되지 못했다(지역체제에 속한 이들이 자신들의 지역은 그 자체로 ‘천하’와 동의어라고 인식했음에도). 제국은 야만족을 다스리지 못해 굴복하고는 했으며, 다른 지역체제의 중심부까지 도달하기에는 조직적, 기술적 역량이 부족했다. 과잉팽창한 제국이 야만족과 다른 제국과의 경쟁에 자원을 낭비하며 무너지고 지역체제에 거대한 혼란이 찾아오는 것은 문명의 역사에서 늘 찾아오는 주기적 사건이었다. 결정적으로 지역체제를 다스리는 제국들은 이미 자신들의 권력이 뻗치는 공간을 ‘잘 보호되는 제국의 강역’으로 인지하고 있었고, 모든 물산을 그 강역에서 거둘 수 있다고 판단했기에 다른 지역체제를 무리하게 자신의 지역체제 산하에 두려는 의욕을 갖지 않았다. 그러한 능력과 의욕을 지닌 몽골제국이 등장하기 전까지는 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