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행 일정 상 아제르바이잔을 먼저 얘기하는 게 맞겠지만, 최근 세계의 이목이 이란에 집중된 만큼 이란 얘기를 먼저 하는 게 맞겠다. 나는 이란에서 3월 7일부터 4월 11일까지, 한달하고 일주일 가량 더 머물렀다. 이 기간은 꽤 특별한 시기이기도 했는데, 봄과 새해를 맞이하는 이란의 최대 명절인 노루즈가 있기 때문이다. 게다가 올해는 특이하게도 이슬람력 9월인 라마단이 딱 3월 초부터 4월 초까지 겹쳐서, 페르시아 최대 명절과 이슬람 최대 행사가 동시에 겹치는 진귀한 때이기도 했다. 낮에는 라마단 때문에 어디 커피라도 한 잔 마시기가 어려웠지만 밤에는 도시 곳곳이 명절이자 축제 분위기로 흥겨웠다. 그러니까 외부에서 흔히 생각하는, 무시무시한 혁명 수비대와 미사일이 행진하는 이란은 전혀 볼 수 없었다. 오히려 도시 중심가는 새벽에 돌아다녀도 아무 문제가 없을 정도로 안전했다. 이점은 내가 덩치가 좀 큰 남성인 것도 작용했겠지만.

테헤란 시내 중심의 팔레스타인 광장. 이번 이스라엘 공습으로 사망한 코드스군 사령관 모하마드 레자 자헤디의 사진이 벽에 걸려 있다. 위에 글이 히브리어로 적혀 있어 이스라엘에 메시지를 발신하는 것이 인상적이다. 조명은 팔레스타인 국기 색깔로 밝혀놓았다. 
팔레스타인 광장은 한적했지만 라마단이 끝나가는 축제 현장은 사람으로 가득했다. 이란 곳곳의 민족을 표현한 민속 의상과 탈을 쓰고 춤을 추는 사람들.

게다가 내가 여행 중 만난 대부분의 이란 젊은이들은 정말 뉴스나 글로 접했던 것보다도 훨씬 더 세속적이고, 정부에 대한 반발심이 큰 사람들이 많았다. 어쩌면 영어로 소통할 수 있는 중산층들이라서 특히 더 그랬던 것일 수도 있다. 이들 대부분은 2년 전에 있었던 마흐사 아미니의 죽음으로 촉발된 히잡 시위에 한 번이라도 참여하기도 했었다. 이스라엘은 인도주의적 이유로 대부분 혐오하지만 이란이 미국, 이스라엘과 대결하느라 국내에 더 시급한 사회, 경제 문제를 해결하지 않는다고 불만을 품는 이들이 많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