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행 일정 상 아제르바이잔을 먼저 얘기하는 게 맞겠지만, 최근 세계의 이목이 이란에 집중된 만큼 이란 얘기를 먼저 하는 게 맞겠다. 나는 이란에서 3월 7일부터 4월 11일까지, 한달하고 일주일 가량 더 머물렀다. 이 기간은 꽤 특별한 시기이기도 했는데, 봄과 새해를 맞이하는 이란의 최대 명절인 노루즈가 있기 때문이다. 게다가 올해는 특이하게도 이슬람력 9월인 라마단이 딱 3월 초부터 4월 초까지 겹쳐서, 페르시아 최대 명절과 이슬람 최대 행사가 동시에 겹치는 진귀한 때이기도 했다. 낮에는 라마단 때문에 어디 커피라도 한 잔 마시기가 어려웠지만 밤에는 도시 곳곳이 명절이자 축제 분위기로 흥겨웠다. 그러니까 외부에서 흔히 생각하는, 무시무시한 혁명 수비대와 미사일이 행진하는 이란은 전혀 볼 수 없었다. 오히려 도시 중심가는 새벽에 돌아다녀도 아무 문제가 없을 정도로 안전했다. 이점은 내가 덩치가 좀 큰 남성인 것도 작용했겠지만.


게다가 내가 여행 중 만난 대부분의 이란 젊은이들은 정말 뉴스나 글로 접했던 것보다도 훨씬 더 세속적이고, 정부에 대한 반발심이 큰 사람들이 많았다. 어쩌면 영어로 소통할 수 있는 중산층들이라서 특히 더 그랬던 것일 수도 있다. 이들 대부분은 2년 전에 있었던 마흐사 아미니의 죽음으로 촉발된 히잡 시위에 한 번이라도 참여하기도 했었다. 이스라엘은 인도주의적 이유로 대부분 혐오하지만 이란이 미국, 이스라엘과 대결하느라 국내에 더 시급한 사회, 경제 문제를 해결하지 않는다고 불만을 품는 이들이 많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