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년 한 해의 가장 중요한 선거라는 터키 대통령 선거의 결과가 드러나려 하고 있다. 5월 14일에 있었던 1차 투표에서 집권 여당의 레젭 타입 에르도안은 약 49%를 득표하며 과반에 거의 근접했고, 야당 공화인민당의 케말 클르츠다로을루는 약 45%를 득표하며 뒤처졌다. 터키 선거에 주목하던 많은 이들은 1차 투표 결과를 보고 놀라지 않을 수 없었다. 에르도안은 장기 집권, 경제난, 미국과의 관계 악화, 대지진 등 너무나 많은 악재를 안고 선거에 나섰기 때문이다. 선거 전에는 여론조사에서 에르도안이 클르츠다로을루에 밀리는 결과도 심심치 않게 나왔다.
하지만 1차 투표 결과는 반대로 에르도안이 5%로 야당을 따돌리고 있었다. 게다가 22일에는 5%를 득표한 승리당 후보인 시난 오안이 에르도안을 지지하겠다고 선언하면서, 28일에 있을 결선 투표에서의 에르도안 승리 가능성은 더욱 높아지게 되었다. 설령 다시 이변이 일어나서 에르도안이 패배하더라도 지지세가 여전히 만만치 않음은 충분히 입증된 셈이다. 그렇다면 에르도안은 어떤 구호를 걸었기에 악재에도 불구하고 이런 선전을 해낼 수 있었을까?
2010년대 이래로 에르도안을 관통하는 키워드가 하나 있다면 역시 ‘신오스만주의’일 것이다. 신오스만주의는 지중해와 중동을 호령한 오스만 제국의 영광을 다시 일으키겠다는 새로운 국가 노선이다. 얼핏 복고적이고 퇴행적이라는 인상을 느끼기 쉽다. 하지만 국가 서사로서 신오스만주의는 일종의 진취성을 제공하며 인기를 끌었음을 인식할 필요가 있다. 에르도안은 터키가 유럽연합에 가입하겠다고 노력할 바에야, 이슬람 문명의 언어를 통해 국제 질서에서 당당한 위치를 되찾는 게 낫다고 주창했다. 이전의 국가적 과제였던 유럽연합 가입이 계속 좌절되는 상황에서, 집단을 묶는 공동의 서사와 미래의 목표를 제공했다는 점에서는 성공적인 기획이었다.
신오스만주의를 국민에게 선전하는 전략도 매우 현대적이었다. 2010년대는 터키 방송가에서 오스만 제국 시대를 다룬 여러 사극이 대호황을 맞이한 시기이기도 했다. 이러한 사극은 오스만 제국의 이미지를 우호적으로 만들게 하는 중요한 수단이었고, 심지어 이슬람 세계 전역에서 국제적인 인기를 얻으며 터키 소프트파워의 상징으로 거듭났다. 그 결과 터키 바깥의 일부 무슬림들도 이번 선거에서 에르도안을 응원하기까지 했다. 그러니 신오스만주의는 그저 과거로 돌아가겠다는 움직임이 아니라, 영광스러운 과거를 바탕으로 자신들이 미래를 설계하겠다는 포부가 드러나는 서사에 가깝다.